나스닥 차트 — 추세선(Trendline) 제대로 그리기 가이드

목표: “누가 봐도 납득되는” 추세선을 일관되게 그릴 수 있게 하는 실전 규칙과 체크리스트.
대상: 나스닥(Composite/NDX/QQQ 등) 차트를 트레이딩뷰/HTS/모바일 앱에서 분석하는 분.

TL;DR (핵심 요약)

  • 최소 2점 연결 + 3번째 접촉으로 유효성 강화
  • 몸통 기준 정합성 유지(위크는 허용 범위 내에서만 관통)
  • 급경사보다 완만한 각도가 오래 간다
  • 상위 → 하위 타임프레임 순서로 내려가며 정교화
  • 추세선 이탈 → 리테스트에서 매매 의사결정

1) 추세선이 뭐고 왜 쓰나

  • 방향성 시각화: 상승/하락/횡보 흐름을 직선으로 단순화
  • 구조적 지지/저항: 가격이 반복적으로 반응하는 경계
  • 리스크 관리: 이탈/돌파를 기준으로 손절·추가 진입 판단

2) 준비물 & 차트 세팅

  • 대상 지수: Nasdaq Composite, NDX, QQQ
  • 타임프레임: 주봉/일봉에서 큰 줄기 먼저 → 4H/1H로 세부 조정
  • 스케일: 급등 구간이 많다면 로그 스케일도 체크
  • 보조지표(선택): 이동평균(20/50/200), RSI(14), 거래량

3) 이미지 예시


4) 그리는 절차 (상승·하락 공통 템플릿)

A. 포인트(피봇) 찾기

  1. 스윙 저점/고점을 눈으로 먼저 식별
  2. 최근 2개를 직선으로 연결
  3. 3번째 접촉(또는 근접 반응)이 나오면 선의 신뢰도 ↑

B. 기준(몸통 vs 꼬리) 통일

  • 기본은 몸통 기준으로 일관되게(윗/아랫꼬리는 허용 폭 내)
  • 한 선에서 섞지 않기(몸통·꼬리 혼용은 신뢰도 저하)

C. 각도와 길이

  • 너무 가파른 선 지양: 짧은 시간에 깨질 확률 증가
  • 가능한 긴 구간을 아우르는 선이 더 유효

D. 멀티 타임프레임 정합

  • 주봉/일봉에서 큰 줄기 확정 → 4H/1H로 정밀 조정
  • 상위 프레임 선이 우선권을 가진다

E. 채널 확장

  • 유효한 추세선이 잡히면 복제 후 평행 이동 → 채널 상·하단
  • 채널 중단선(미드라인) 반응도 참고

5) 상승/하락 각각의 체크포인트

상승 추세선(지지선)

  • 저점 상승이 연결되는지
  • 터치 3회 이상이면 강한 구조
  • 이탈 시, 리테스트 실패가 하락 전환 신호 될 수 있음

하락 추세선(저항선)

  • 고점 하락이 연결되는지
  • 상향 돌파+리테스트 성공 시 상승 전환 시나리오 고려
  • 급락 후 V자 급반등 구간은 경사 재조정 필요

6) 흔한 실수 7가지 (피하기)

  1. 보고 싶은 선을 억지로 맞춤(Forcing)
  2. 몸통·꼬리 기준 혼용
  3. 접촉 수 부족(2점만으로 확정)
  4. 급경사에 의존
  5. 상위 프레임 무시하고 단기 프레임에만 몰입
  6. 뉴스 변동성 직후 선 재점검 누락
  7. 과거 선을 영구불변으로 믿음(시장 구조는 변한다)

7) 검증(Validation) 방법

  • 거래량: 추세선 이탈/돌파 시 거래량 증가 여부 확인
  • RSI: 추세선 유지 구간에서 과매수/과매도 극단 반복은 둔화 신호
  • 이평선: 20/50/200MA가 추세선과 겹치는 구역은 반응 확률 ↑
  • : 갭 상·하단과 추세선이 겹치면 강한 지지/저항

8) 리스크 관리 & 시나리오

  • 이탈 확정 기준: 종가 확정/봉 마감 기준으로 이탈 확인
  • 리테스트 대기: 돌파/붕괴 직후 재접촉 기다려 유리한 R/R 확보
  • 무효화 조건: 선을 지키지 못한 채 명확히 하회/상회 시 아이디어 폐기
  • 시나리오 X/Y/Z:
    • X(유지): 선 근처 반등 → 추세 지속
    • Y(이탈-리테스트 실패): 방향 전환 가능성↑
    • Z(가짜 이탈): 이탈 직후 강한 되돌림 → 선 복귀

9) 트레이딩뷰 실전(예: QQQ/NDX)

  1. 일봉으로 전환 → 최근 스윙 로우/하이 표시
  2. 트렌드라인 도구로 2점 연결 → 3번째 접촉 대기
  3. 복사 후 평행 이동으로 채널 작성
  4. 주봉으로 올라가 상위 구조와 충돌 여부 체크
  5. 알람: 트렌드라인 근접/돌파 조건으로 알림 설정
  6. 로그/선형 전환하며 구조 안정성 비교

10) 실전 체크리스트 (붙여넣고 매회 점검)

  • 상위 프레임(주/일) 먼저 봤는가?
  • 2점 연결 + 3번째 접촉으로 검증했는가?
  • 몸통/꼬리 기준을 일관되게 적용했는가?
  • 각도가 과도하지 않은가?
  • 채널(평행선)까지 점검했는가?
  • 거래량/RSI/이평으로 교차 검증했는가?
  • 이탈/돌파 시 리테스트 계획이 있는가?
  • 무효화 조건(Invalidation)을 미리 정의했는가?

11) 자주 하는 질문(FAQ)

Q. 몸통이냐 꼬리냐, 뭐가 정답?
A. 일관성이 정답. 한 선 안에서는 같은 기준으로 끝까지 유지.

Q. 택도 없이 잘 맞는 선이 여러 개?
A. 상위 프레임 우선 + 접촉 수 많은 선 우선 + 보조지표 교차검증.

Q. 선이 너무 자주 깨져요.
A. 각도 과도·단기 프레임 집착·뉴스 변동성 미반영을 점검.

Q. 로그 스케일은 언제?
A. 장기·급등 구조일수록 로그가 유리한 경우가 많다(특히 지수/빅테크).